부제 : 생성형 AI란 무엇인가? (1부: 생성형 AI 시장 현황)
1. 챗GTP 생성형 AI 효시
2022년 등장한 챗GPT(ChatGPT)는 일반 대중들의 AI에 대한 관심을 끌 정도로 사회 전반에 충격파를 던졌다.
챗GPT 등으로 대표되는 소위 ‘생성형 AI’(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는 수많은 데이터를 사전에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요구에 대한 새로운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AI 기술을 의미한다.
향후 새로운 산업혁명을 가져올 핵심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유력한 시장 조사기관 Statista가 예측하고 있듯이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공정위가 2024. 12월에 발간한 생성형 AI 관련 정책보고서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2. 생성형 AI 시장 현황
생성형 AI 시장은 AI 인프라/AI 개발/AI 구현으로 나누어 그 가치사슬을 살펴볼 수 있다.
(1) 생성형 AI 인프라
AI 인프라는 상위 가치사슬인 AI의 개발 및 구현을 위해 필요한 필수요소를 구축하는 단계를 말하며,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AI 반도체, 클라우드 등 컴퓨팅 자원, 데이터, 전문인력 등에 대한 개발이나 확보가 필요하다.
(2) 생성형 AI 개발
AI 개발은 특정한 AI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기반모델(Foundation Model)을 직접 개발하거나 기존 기반모델을 튜닝하여 활용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AI 인프라가 마련되고 AI 개발 단계 이후에는 텍스트·이미지 생성 등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수요자에게 구체적인 AI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3) 생성형 AI 구현
아직, 생성형 AI 시장이 막 형성되어 발전되어 나가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위의 가치사슬이 모두 상업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현 시점에서는 AI 반도체, 클라우딩 컴퓨터, 기반모델, AI 서비스 부문에 있어 주로 거대 해외 IT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일부 시장은 고착화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생성형 AI 시장의 경쟁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관련시장을 면밀히 관찰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가) AI 반도체
AI 반도체의 경우 그래픽 처리장치인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신경망 처리장치인 NPU(Neural Processing Unit) 등이 있다. 주로 이러한 GPU와 NPU에 메모리 반도체(HBM)가 결합된 AI 가속기 형태의 제품으로 관련시장에 공급되게 되는데 가장 유력한 사업자는 엔비디아를 들 수 있으며 그 외 인텔, AMD 등의 사업자를 들 수 있고 시장참여 국내 사업자로는 사피온코리아, 리벨리온 등을 들 수 있다.
(나) 클라우딩 컴퓨팅
클라우딩 컴퓨팅 분야는 생성형 AI 개발이나 구현을 위해 모든 사업자가 AI 반도체를 확보하는 등 자체 인프라를 갖추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를 통해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형성되는 시장이다. 현재는 아마존 웹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유력 해외사업자와 함께 국내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다) 기반모델 분야 & AI 서비스
기반모델 분야는 해외의 빅테크인 구글, 메타, Open AI,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이 필수 인프라를 이미 구축한 상태에서 유력한 시장참여자로 활동하고 있고, 국내 사업자로는 네이버, 카카오 등이 있으나 경쟁력면에서 열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AI 서비스는 ‘AI 비서’와 같이 넓은 범위의 작업을 수행하는 수평적 AI와 법률 등 특정분야에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수직적 AI로 구분되며 현재 다양한 형태의 AI 서비스가 유·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3. 공정위 생성형 AI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대한 영향 보고
IT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생성형 AI의 의미와 시장현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향후 전개되는 산업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며 2부에서는 이와 같이 전개되고 있는 생성형 AI 시장현황이 경쟁과 소비자 후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짚어 보기로 한다.